반응형 HR_보상이야기56 개인질병으로 인한 퇴사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Q1. 개인적인 질병으로 인해 더이상 근무를 할 수 없게되었습니다... 회사에 물어보니 자발적 퇴직이기에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다고 말을 합니다... 근무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몸이 안좋은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A1. 업무와 관련이 없는 개인질병 혹은 부상으로 퇴사를 했다 하더라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무조건 지급되는 것은 아닙니다. 개인질병으로 인해 퇴사를 하여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여야 합니다. ① 의사 소견서 ② 사용자 휴직미부여 확인서 입니다. 의사 소견서의 경우 1) 퇴직 전에 받아야 하며 2) 최소 1개월 이상의 치료를 요구한다는 소견이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퇴직 후 병원에서 의사 소견서를 받았을 경우 질병으로 인한.. 2021. 2. 7. 배우자 출산휴가 총정리 예전에는 3.3.35 운동이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세자녀를 세살터울로 낳아 서른다섯에 단산하자"라는 뜻으로 출산율이 너무 높아 출산을 억제하기 위해 시행했던 가족계획사업이었습니다. 결혼 후에도 자녀를 낳지않는 딩크족이 있는 요즘시대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입니다. 현재는 출산율이 너무 낮아 국가에서 출산을 장려하기위해 많은 법안을 개정하고 있습니다. 배우자출산휴가도 그 대상중 하나로써 19년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배우자출산휴가에 대한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자주듣는 질문사항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배우자출산휴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과 [고용보험법] 개정에 따라 2019.10.1(화)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유급3일 무급2일에서 유급10일로 확대되었습니다. 또.. 2021. 2. 3. 통상임금의 정의부터 계산까지 2020년 현대자동차 그룹에 큰 소송 중 한가지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바로 통상임금 소송입니다. 이 통상임금의 소송의 결과로 현대차에서 오랜시간 근무한 직원들의 경우 천만원 이상의 임금을 수령하게 되었습니다. 2013년부터 싸워온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통상임금이 뭐길래... 근로자입장에서 얼마나 중요하길래 이렇게 계속 싸워왔으며, 그 결과 천만원이라는 큰 금액을 받아낼 수 있었을까요? 통상임금에 대해 천천히 알아보겠습니다. 1. 통상임금이란? 아주 간단합니다. 바로 법정수당을 계산하는 기준이 통상임금 입니다. 그렇다면 법정수당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법정수당은 연장, 휴일, 심야근무수당, 연차수당 입니다. 간혹 회사에서는 연장, 휴일근로에 대한 수당을 기본급 기준으로 작성하는.. 2021. 1. 30. 육아휴직 사후지급금 신청방법 띠리링... 육아휴직이 끝나고 복직한 후에 6개월이 지나면 육아휴직 사후지급금을 신청하라는 문자를 받게 됩니다. "어!? 나 육아휴직급여 다 받았는데~ 잘못왔나보다 무시하자" 하면 절대 안됩니다. 아직 육아휴직급여를 다 받지 못했습니다. 이 글에서 이게 무슨 말인지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해보겠습니다. 1. 육아휴직 사후지급금이란? 육아휴직급여를 다 받으신 줄 아셨겠지만, 사실은 육아휴직급여의 75%만 받으신 겁니다. 나머지 25%는 복직한 후 6개월 뒤에 한번에 지급되며 이를 사후지급금이라고 부릅니다. 반드시 6개월간 근무해야하며, 계약만료등의 비자발적인 퇴사의 경우에만 6개월미만 근무자도 인정하였습니다. 그러나! 2020년 3월 31일자로 출산 육아기 노동정책이 바뀌어 자발적인 퇴.. 2021. 1. 2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