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함수'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엑셀함수4

다국적 IF 엑셀 함수들 (SUMIF, AVERGEIF, COUNTIF, 조건부 합, 조건부 평균, 조건부 개수) IF 함수는 엑셀의 기본적인 조건부 함수 입니다. 이러한 IF는 SUM, AVERAGE, COUNT와 결합하여 조건부 계산을 가능하게 하는 SUMIF, COUNTIF, AVERAGEIF 함수를 낳게 됩니다.이 글에서는 각 함수의 사용법과 실생활에서의 사례를 통해 이들의 강력한 기능을 설명하겠습니다.1. SUMIF 함수SUMIF 함수란?SUMIF 함수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셀들의 합계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특정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그에 해당하는 값을 합산할 때 유용합니다. =SUMIF(range, criteria, [sum_range]) range: 조건을 검사할 셀 범위criteria: 합계에 포함할 셀을 결정하는 조건sum_range: 합계를 구할 실제 셀 범위 (생략 가.. 2024. 7. 23.
IF 함수 (조건 함수의 기본, And Or 함수 등을 활용한 예제) 엑셀의 IF 함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조건에 따라 다른 값을 반환하는 이 함수는 기본적인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IF 함수의 기본 사용법부터 And, Or 함수를 활용한 복잡한 예제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예제가 5종류가 있어 파일도 같이 첨부하겠습니다.1. IF 함수란?기본 사용법IF 함수는 주어진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다른 결과를 반환합니다. 기본적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IF(logical_test, value_if_true, value_if_false) logical_test: 조건문 (참 또는 거짓을 반환)value_if_true: 조건이 참일 때 반환할 값value_if_false: 조건이 거짓일 때 반환할 값.. 2024. 7. 21.
INDEX, MATCH 함수 (엑셀 피벗과 함께 현황 자료 만들기 최고 함수) 엑셀에서 INDEX와 MATCH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데이터 분석과 관리에 매우 유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INDEX와 MATCH 함수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INDEX 함수란?INDEX 함수는 지정한 행과 열에 위치한 값을 반환합니다. 기본적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INDEX(array, row_num, [column_num]) array: 데이터를 포함한 셀 범위.row_num: 반환할 값이 있는 행 번호.column_num: 반환할 값이 있는 열 번호(선택 사항, 기본값은 1).2. MATCH 함수란?MATCH 함수는 지정한 값이 있는 위치를 반환합니다. 기본적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MATCH(lookup_valu.. 2024. 7. 14.
엑셀 vlookup 함수 직장인 필수 엑셀함수 첫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vlookup에 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vlookup 함수는 정말 어느 분야에서나 많이 쓰이는 함수입니다. 1. vlookup 함수의 정의 vlookup 함수가 무엇이냐!? 엑셀에서 표현한 vlookup의 정의는 아래와 같아요 이게 무슨 뜻이지... 이를 실무적으로 풀어보면 "특정 범위에서 첫 세로줄을 참고하여 지정한 행의 자료를 가져온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풀어서 해석해도 햇갈리신다면 예제를 보시면서 실제로 해보시면 아주 간단하실 겁니다. 2. vlookup 함수 사용하기 위의 예제파일을 다운받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vlookup을 사용해서 왼쪽의 표의 데이터를 오른쪽의 빈칸에 사과의 원산지와 판매실적을 채워넣을 것.. 2021.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