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_보상이야기/HR_보상이야기_양식공유'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R_보상이야기/HR_보상이야기_양식공유16

퇴직금 계산 방법 및 양식 공유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후 퇴사할 때 받을 수 있는 법정 금액으로, 한국의 근로기준법에 의해 보호받는 중요한 권리입니다. 퇴직금 계산 방법은 비교적 간단해 보일 수 있지만,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념을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퇴직금 계산 방법을 최대한 상세하게 설명드리고, 알아야 할 개념들과 함께 예시를 들어 드리겠습니다.* 양식은 4번 항목에 있습니다!1. 퇴직금 계산 방법의 기본 공식퇴직금은 다음의 기본 공식으로 계산됩니다: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총 근속일수 ÷ 365)이 공식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을 하나씩 설명하겠습니다.2. 평균임금이란?평균임금은 근로자가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의 총액을 해당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2024. 8. 19.
평균임금 계산양식 배포 연말이 되면 기업의 인사팀과 고용노동부는 퇴직금과 실업급여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평균임금을 산정하는 데 집중합니다. 또한 대퇴사시대인 요즘 경력개발 및 새로운 꿈을 향해 직장에서 퇴직하시는 분들 역시 퇴직금 및 실업급여 계산을 위해 평균임금에 대해 많이 궁금해하곤 합니다. 이렇게 평균임금은 퇴직금, 실업급여, 휴업급여 등 다양한 급여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전 평균임금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넘어 계산양식을 공유하고 이에 대해 설명을 드리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평균임금이란?평균임금은 특정 사유가 발생한 날을 기준으로 직전 3개월간의 임금 총액을 해당 기간의 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퇴직일(마지막 근무일)이 2024년 8월 18일이라면, 2024년 5월 19부터 8.. 2024. 8. 19.
2024년 4대보험 및 보수월액 계산기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한국에서 근로자들이 가입하는 주요 사회보험입니다.  지난 글에서 아래의 글에서 2024년 4대보험 요율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4대보험요율에 대해 설명하다보면 보수월액, 소득월액 등의 보험금의 기준이 되는 용어들이 나오는데요. 각 보험의 보수월액 계산 방법은 다소 다르며, 이에 따라 보험료도 달라집니다. 오늘은 이 보수월액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 4대보험이 계산되는 엑셀양식을 공유드리겠습니다. 2024년 4대보험 요율 및 계산 (상한액, 하한액, 취지 등)지난 번 국민연금 상한액 인상에 이어, 2024년 4대보험요율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먼저, 빠르게 4대보험 요율과 계산 예시를 보여드리고 4대보험에 의의 및 취지를 말씀드리고 마무리하3floor.. 2024. 8. 8.
연장근무, 휴일근무, 야간근무 수당 계산기 공유 (간략버전) 안녕하세요. 오늘은 그간 말씀드린 통상임금, 휴일근무, 야간근무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월급제 기준의 연장근무, 휴일근무, 야간근무 수당 계산기를 전달드리려고 합니다. 아주 간략한 버전이고 점점 구체화 시켜나갈 예정입니다.먼저, 각 근무에 대한 개념을 간략하게 설명드리고 계산기를 공유드리겠습니다.1. 각 수당의 개념연장근무, 야간근무, 휴일근무 수당은 근로자가 기본 근로시간 외에 추가적으로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지급되는 추가 임금입니다. 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정해지며, 각 유형별로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습니다:연장근무 수당:연장근무는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일 8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시간입니다.연장근무 수당은 기본 임금의 1.5배를 지급합니다.예를 들어, 통상 시급이 10,00.. 2024. 8.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