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과 휴가의 구분
본문 바로가기
HR_보상이야기/HR_보상이야기_정보공유

휴일과 휴가의 구분

by 직장인들을 위한 직장인 2021. 2. 21.
728x90
반응형

일반적인 직장인분들은 휴일과 휴가를 구분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회사가 다른회사가 쉴때 쉬지않아 불만을 가지게 되어,

휴일과 휴무의 차이를 살피고 더 나아가 법정휴일과 약정휴일 법정휴가와 약정휴가의 차이를 살펴볼때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오늘 휴일과 휴가의 차이를 가볍게 살펴보고 법정휴일과 약정휴일, 법정휴가와 약정휴가의 차이에 대해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1. 휴일과 휴가의 정의


휴일은 주휴일과 같이 소정근로일이 아닌 날, 근로의무가 없는 날을 뜻합니다.

휴가는 평일에 근로의무가 있는 날에 연차를 사용하여 근로의무가 면제된 날을 뜻합니다.

2. 법정휴일과 약정휴일, 법정휴가와 약정휴가의 구분


법정휴일과 약정휴일, 법정휴가와 약정휴가는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법정휴일과 법정휴가는 법에 근거하여 의무적으로 부여하는 휴일과 휴가입니다.

약정휴일과 약정휴가는 부여조건이 단체협약 등을 통해 결정된 휴일과 휴가입니다.

법정휴일은 근로기준법상 주휴일과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의 근로자의 날에 해당 됩니다.

이에 더하여 공휴일도 사업장 규모별로 단계적으로 법정휴일에 산입되고 있습니다. 공휴일은 사실 공무원에게만 적용되던 관공서의 휴일이었습니다. 대기업에서는 관공서 공휴일을 자체 휴일로 운영하고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연히 쉬는 날로 알고계시겠지만 실제로 중소기업의 경우 어린이날, 크리스마스, 석가탄신일 등에 휴일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이러한 현실적 차별을 개선하고자 2018년 근로기준법이 개정되어 2020년부터 단게적으로 공휴일도 법정휴일에 산입됩니다. 사업장 규모별 적용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약정휴일은 회사창립일 혹은 노조창립일처럼 회사 취업규칙으로인해 고정적으로 부여되는 휴일을 뜻합니다.

법정휴가는 연차와 생리휴가 배우자출산휴가처럼 법에 의무적으로 부여되도록 정해저 있는 휴가입니다.

약정휴가는 가족의 상, 결혼휴가와 같은 경조휴가, 여름에 부여되는 하계휴가, 포상휴가와 같이 법적으로 정해져있지 않으나 단체협약에 의해 근로자들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날을 뜻합니다. 

이 글이 휴일과 휴가의 차이가 햇갈리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